본문 바로가기
Something Helpful

퀀트 투자, 리스크는 낮게 수익은 꾸준히!

by 다이노제곱 2022. 10. 6.

퀀트 투자는 자산을 최대한 잃지 않으면서 10~20%의 연평균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투자법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자하며 인간의 심리는 배제한다. 적게 잃고 연 10% 이상의 이익을 통해 장기적으로 훨씬 큰 수익을 거두는 전략이다.

 

반응형

 

퀀트 투자란?

퀀트 투자는 'Quantitative(정량적)'와 'Analyst(분석가)'의 합성어이다. 쉽게 말해, 인간의 심리적인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투자하는 방법다. 숫자 말고 아무것도 믿지 않는 투자다. 이를 위해 아래 두 가지 요소를 핵심으로 삼는다. 익숙하지 않은 용어일 수 있으나 어렵지 않다.

  • 연평균 복리 수익률(CAGR): 그래서 연평균 얼마의 수익을 낼 수 있는데?
  • 최대 하락폭(MDD, Maximum Drawdown): 만약에 손해를 본다면 얼마나 봐야 하는데?

내 자산을 잃지 않기 위해 첫째, 목표수익률을 정한다. 둘째, 수익률 달성을 위해 어느 정도의 리스크(최대하락, MDD)를 감당할 것인지 정한다. 끝이다. 너무 쉬운가? 그렇다면 퀀트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퀀트 투자 방법

퀀트 투자는 철저한 '데이터 기반' 투자라고 설명했다. 데이터는 어디서 얻을까? 바로 '과거 주식시장의 결과'에서 얻는다. 문과 출신인 나도 쉽게 이해했기 때문에 겁먹지 말자. 이 투자 방법의 핵심은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 어떤 '자산배분 전략'이 수익률과 리스크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지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 자산배분은 아래 주식 종목들을 혼합하는 게 일반적이다. 

  • 선진국 주식 ETF
  • 채권 ETF
  • 성장주 ETF

ETF는 개별 주식이 아니라 여러 주식을 하나로 묶어 주식에 상장한 묶음 주식으로 이해하면 편하다. 퀀트 투자를 위해서는 위 주식 종목들을 혼합해 백테스트(Back Test)를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한 공부는 조금 필요하다. 퀀트 투자에 대해 가장 잘 정리한 사람이 있다. '강환국'이라는 개인투자자이다. 개인적으로 '거인의 포트폴리' 도서가 도움이 많이 되었다. 퀀트 투자 프로그램이나 운용기관들이 있으나 수수료가 빠지게 되면 내 수익도 저하되게 된다. 직접 한 백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투자를 시작하고 1년이나 반년에 1번 정도만 리밸런싱(원래 투자한 비율에 맞춰 자산을 재배분)을 해 주면 된다.

 

 

퀀트 투자 주의사항

퀀트 투자의 가장 큰 적은 데이터 기반 사고를 버리고 직접 투자하는 것이다.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맹신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직접 운용하면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끝까지 처음 세운 데이터 기반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전략이다. 특히, 상승장의 경우 코스피와 나스닥의 지수 수익률을 따라잡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는 큰 문제가 아니다. 하락장에서 크게 손해를 보면 이익은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 100원을 투자해 50%를 손실을 보게 되면 50% 수익률이 아닌 100% 수익률이 필요하다.
  • 최대한 적게 잃고, 꾸준히 수익을 내는 것이 장기적으로 훨씬 많은 부를 가져다줄 것이다.

 

* 본 글은 투자의 한 방법을 설명할 뿐 결과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투자의 결과는 본인 스스로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